알바 계약서 쓰려고 하는데 사장님이 이렇게 말했어요.
“4대보험 말고, 그냥 프리랜서로 3.3%만 떼줄게요. 그게 너한텐 더 이득이야.”
과연 그럴까요? 프리랜서로 알바하면 정말 세금이 더 적게 나갈까요?
실수령액은 높을 수 있지만, 꼭 ‘이득’이라고만은 볼 수 없어요.
✅ 프리랜서 알바는 어떤 형태?
‘프리랜서 알바’는 보통 근로계약서 없이, 용역계약서 또는 계약서 없이 말로 일하는 형태예요.
급여 지급 시 3.3%를 원천징수하고, 그 외 4대보험은 없습니다.
여기서 3.3%는 소득세(3%) + 지방소득세(0.3%)를 합친 금액이에요. 즉, 100만 원을 받으면 세금으로 33,000원이 빠지고 **실수령액은 967,000원**이 되는 구조입니다.
📌 진짜 덜 내는 걸까? vs 나중에 더 낼 수도 있음
많은 사람들이 “3.3%만 빠지니까 훨씬 이득”이라고 생각하지만, 사실 프리랜서는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따로 해야 하고, 세금이 추가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알바로 월 200만 원씩 6개월간 프리랜서 형태로 일했다면?
→ 총 소득 1,200만 원에서 이미 3.3%는 선공제됐지만,
→ 나중에 필요 경비를 인정받지 못하면 추가 세금 수십만 원이 나올 수 있어요.
💰 프리랜서 vs 4대보험 알바 실수령액 비교
구분 | 월급 200만 원 | 실수령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프리랜서 (3.3%) | 200만 원 | 약 1,934,000원 | 세후 즉시 지급, 별도 보험 없음 |
4대보험 근로자 | 200만 원 | 약 1,820,000원 | 국민연금·건강보험·고용보험 포함 |
👉 프리랜서가 당장은 실수령액이 약 11만 원 정도 많지만, 건강보험 지역가입 전환 시 보험료 폭탄, 연말 세금 추징 위험까지 감안하면 꼭 유리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.
📉 프리랜서 알바의 단점 요약
- 4대보험 미적용 → 실업급여·산재보상·연금 없음
-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전환 → 부동산 보유 시 보험료 상승
- 연말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→ 신고 안 하면 가산세 발생
- 노동법 보호 X → 최저임금, 주휴수당, 연차 등 해당 안 됨
📋 알바생에게는 어떤 선택이 더 나을까?
- 단기 알바, 한두 번 일하고 끝 → 프리랜서가 간단할 수 있음
- 장기 근무, 매달 고정 수입 있음 → 4대보험 근로자 형태 추천
- 소득 외에 부동산 자산이 있다면 → 프리랜서는 건강보험료 불리
✅ 마무리 – ‘당장 손해’보다 ‘장기 혜택’을 따져보자
프리랜서 알바는 당장 세금 적게 떼는 것처럼 보이지만, 보험료, 세금, 복지 혜택, 노후 대비 등 모든 걸 감안하면 오히려 손해일 수 있어요.
알바도 단순한 ‘돈벌이’가 아니라 내 미래를 설계하는 과정이에요.
내가 지금 어떤 형태로 일하고 있고, 어떤 보호를 받고 있는지를 꼭 체크해보세요 :)